안녕하세요! 오늘은 머리 아프기로 소문난 회계 이야기 를 해볼까 해요. 바로 '현금흐름표'인데, 특히 IFRS에서 새롭게 도입된 '사용권 자산'과 '리스 부채' 때문에 더 헷갈리죠? 저도 처음엔 정말 어려웠어요. 복잡한 용어와 계산 때문에 금방 포기하고 싶었던 적도 많았답니다. 하지만 막상 이해하고 나니 생각보다 어렵지 않더라고요. 오늘은 사용권 자산과 리스 부채의 최초 인식부터 결산 분개까지 , 쉽고 재미있게 알려드릴게요. 핵심 내용만 쏙쏙 골라서 설명 해 드릴 테니 함께 차근차근 알아가 봐요!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친절하게 답변해 드릴게요.
사용권 자산 최초 인식
자, 드디어 사용권 자산 최초 인식 에 대해 알아볼 시간이에요! IFRS 16에 따르면 리스계약이 시작되는 시점, 그러니까 리스개시일에 사용권 자산을 인식 해야 한다는 사실, 꼭 기억해 두세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으니까 걱정 마세요~ 😊
사용권 자산 최초 인식금액
사용권 자산의 최초 인식금액은 리스부채와 동일하게 측정 돼요. 여기서 리스부채는 리스개시일에 지급해야 할 리스료의 현재가치 로 계산되는데, 현재가치를 구하는 과정이 살짝 복잡하게 느껴질 수도 있어요. 하지만 걱정 마세요! 제가 차근차근 설명해 드릴게요.
리스료의 현재가치 계산
리스료의 현재가치를 계산할 때는 ' 증분차입이자율 '을 사용해야 해요. 증분차입이자율이란, 리스자산과 동일한 경제적 효익을 창출하는 자산을 취득하기 위해 리스이용자가 부담해야 하는 이자율 을 말하는데요, 만약 이 이자율을 쉽게 구할 수 없다면!? 리스제공자의 내재이자율을 사용 할 수 있어요. 😮 이 부분이 좀 헷갈릴 수 있는데, 예시를 통해 살펴보면 훨씬 이해하기 쉬울 거예요.
사용권 자산 최초 인식금액 계산 예시
만약 A 회사가 건물을 리스하기로 했고, 리스기간은 5년, 매년 지급해야 할 리스료는 1,000만 원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그리고 증분차입이자율은 5%라고 해볼게요. 이 경우, 각 연도별 리스료의 현재가치를 계산하고 이를 모두 합산하면 사용권 자산의 최초 인식금액을 구할 수 있어요!
1년 후 리스료의 현재가치: 10,000,000 / (1 + 0.05)^1 = 9,523,809.52
2년 후 리스료의 현재가치: 10,000,000 / (1 + 0.05)^2 = 9,070,294.78
3년 후 리스료의 현재가치: 10,000,000 / (1 + 0.05)^3 = 8,638,375.98
4년 후 리스료의 현재가치: 10,000,000 / (1 + 0.05)^4 = 8,227,024.75
5년 후 리스료의 현재가치: 10,000,000 / (1 + 0.05)^5 = 7,835,261.66
따라서 사용권 자산의 최초 인식금액은 9,523,809.52 + 9,070,294.78 + 8,638,375.98 + 8,227,024.75 + 7,835,261.66 = 43,294,766.69 원 이 됩니다!
추가 고려사항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에요. 리스료에 포함되는 항목 중 리스개시일 이전에 리스이용자가 부담하는 리스인센티브, 리스제공자에게 지급하는 초기 직접비용 등이 있다면 이 금액들도 사용권 자산의 최초 인식금액에 포함 해야 해요. 만약 A 회사가 리스계약을 체결하면서 리스제공자에게 초기 직접비용으로 500만 원을 지급했다면, 사용권 자산의 최초 인식금액은 43,294,766.69 + 5,000,000 = 48,294,766.69 원 이 되겠죠?!
반대로, 리스이용자가 리스제공자로부터 받는 리스인센티브가 있다면 사용권 자산의 최초 인식금액에서 차감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 회사가 리스인센티브로 200만 원을 받았다면, 사용권 자산의 최초 인식금액은 48,294,766.69 - 2,000,000 = 46,294,766.69 원 이 되는 거죠. 참 쉽죠~?! 😆
단기리스와 소액자산 리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 하나 더! 만약 리스가 단기리스이거나 소액자산 리스에 해당한다면, 리스이용자는 사용권 자산을 인식하지 않고 리스료를 리스기간 동안 비용으로 처리 할 수 있다는 점도 잊지 마세요! 단기리스는 리스기간이 12개월 이하인 리스 를, 소액자산 리스는 리스자산의 내용연수에 관계없이 리스개시일에 자산의 공정가치가 낮은 리스 를 의미해요. (참고로, IFRS 16에서는 소액자산에 대한 명확한 금액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아요. 각 기업이 스스로 판단해야 하는 부분이죠!)
자, 이제 사용권 자산 최초 인식에 대해 어느 정도 감이 잡히셨나요? 다음에는 리스부채 최초 인식에 대해 알아볼 텐데, 사실 사용권 자산과 리스부채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기 때문에 이해가 훨씬 쉬울 거예요! 그럼 다음에 만나요! 😉
리스 부채 최초 인식
자, 이제 리스 부채 최초 인식 에 대해 알아볼 시간이에요! 사용권 자산만큼이나 중요한 부분 이니, 꼬옥! 집중해주세요~!! 여기서 헷갈리면 나중에 결산할 때 머리 아파진답니다ㅠㅠ 리스 부채는 기본적으로 미래에 지급할 리스료의 현재가치로 측정 해요. 현재가치… 이름만 들어도 어려워 보이죠? 하지만 걱정 마세요! 차근차근 설명해 드릴게요!^^
리스 부채란 무엇인가?
리스 계약을 딱! 체결하는 순간, 우리 회사는 미래에 리스료를 지급해야 할 의무가 생기죠? 이 의무를 금액으로 나타낸 것이 바로 리스 부채랍니다. 마치 우리가 은행에서 돈을 빌리면 갚아야 할 빚이 생기는 것과 같은 원리예요. 단, 리스 부채는 단순히 남은 리스료의 합계가 아니라는 점!! 여기서 함정이 숨어있답니다~?
리스 부채 계산 방법
리스료에는 이자 비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미래 리스료를 모두 더하면 실제 부채보다 큰 금액이 나오게 돼요. 그래서 현재 시점의 가치로 환산하는 과정이 필요 한 거죠! 마치 1년 뒤에 받을 100만 원이 지금 당장의 100만 원과 같은 가치가 아닌 것처럼 말이에요. 시간이 지날수록 화폐의 가치는 변하기 때문에, 미래의 리스료를 현재 시점으로 가져와서 계산해야 한답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할인율'이에요. 할인율은 일반적으로 리스 계약에 명시된 이자율을 사용 해요. 만약 이자율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면?! 증분차입이율을 사용하면 된답니다. (증분차입이율이 뭔지 궁금하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따로 설명해 드릴게요~^^)
리스 부채 계산 예시
예를 들어, 매년 말 1,000,000원씩 5년 동안 리스료를 지급하는 계약이 있다고 가정해 볼게요. 그리고 할인율은 5%라고 해봅시다. 이 경우, 리스 부채는 각 연도 리스료의 현재가치를 모두 합산하여 계산해요. 1년 후 지급할 1,000,000원의 현재가치는 약 952,381원, 2년 후 지급할 1,000,000원의 현재가치는 약 907,029원… 이런 식으로 5년 치 리스료를 모두 현재가치로 계산하고 더하면 최초 인식 시점의 리스 부채가 계산되는 거죠! (계산 과정이 조금 복잡하죠…? 하지만 걱정 마세요! 엑셀이나 재무 계산기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답니다!^^)
리스 부채 최초 인식 분개
자, 그럼 리스 부채 최초 인식 시 분개는 어떻게 할까요? 차변에는 사용권 자산, 대변에는 리스 부채를 기록하면 된답니다! 생각보다 간단하죠? 예를 들어, 위에서 계산한 리스 부채의 현재가치 총합이 4,329,477원이라고 가정해 보면, 분개는 다음과 같아요.
(차변) 사용권 자산 4,329,477원
(대변) 리스 부채 4,329,477원
어때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죠? 핵심은 미래 지급할 리스료를 현재가치로 환산하는 것! 그리고 그 금액을 리스 부채로 계상하는 것! 이 두 가지를 기억하면 된답니다! 리스 부채는 사용권 자산과 짝꿍처럼 움직이기 때문에, 사용권 자산을 이해했다면 리스 부채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혹시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친절하게 답변해 드릴게요~!!
리스 계약 조건과 리스 부채
좀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리자면, 리스 계약에는 다양한 조건들이 포함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리스 개량 의무, 매수 옵션, 잔존가치 보증 등이 있죠. 이런 조건들은 리스 부채 측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답니다. 만약 리스 계약에 리스 개량 의무 가 포함되어 있다면, 예상되는 리스 개량 비용의 현재가치도 리스 부채에 포함해야 해요. 매수 옵션 이 있다면, 행사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매수 옵션 행사 가격의 현재가치를 리스 부채에 포함해야 하고요. 잔존가치 보증 이 있는 경우에는 보증하는 금액과 예상되는 잔존가치의 차이를 고려하여 리스 부채를 조정해야 한답니다.
실무에서의 리스 부채
실제 기업에서는 다양한 리스 계약 조건들을 고려하여 리스 부채를 측정하고 있기 때문에, 실무에서는 더욱 복잡한 계산이 필요할 수 있어요. 하지만 기본 원리는 동일하다는 점! 미래 지급할 리스료를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부채로 계상한다는 것! 이것만 기억하면 어떤 복잡한 리스 계약이라도 충분히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을 거예요!^^ 다음에는 리스 부채 결산분개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그 전에 리스 부채 최초 인식을 확실하게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 하답니다! 그럼 다음에 만나요~!!
사용권 자산 결산분개
후~ 드디어 사용권 자산 최초 인식과 리스부채 최초 인식까지 알아봤어요! 이제 뭐가 남았을까요? 바로 결산분개죠! ^^ 처음에는 낯설고 어려운 용어들 때문에 머리가 핑핑 돌 수도 있지만, 몇 번 해보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제가 옆에서 차근차근 설명해 드릴 테니 걱정 마세요~?
사용권 자산의 감가상각
자, 이제 사용권 자산 결산분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사용권 자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가 감소하는데, 이를 '감가상각'이라고 해요. 마치 새 차를 사면 시간이 지날수록 가치가 떨어지는 것과 같은 원리죠! 건물이나 기계처럼 유형자산은 내용연수 동안 정액법이나 정률법으로 감가상각을 하지만, 사용권 자산은 내용연수에 걸쳐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하는 것이 일반적 이에요.
예를 들어, 5년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1억 원에 취득했다면, 매년 2천만 원씩 감가상각하는 거죠. 분개는 (차) 감가상각비 20,000,000 (대) 감가상각누계액 20,000,000 이렇게 됩니다! 간단하죠?!
사용권 자산의 손상차손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에요! 사용권 자산은 손상차손의 위험도 고려해야 해요 . 만약 경제적 상황 변화나 기술 발전 등으로 사용권 자산의 가치가 떨어지면 손상차손을 인식해야 한답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기술이 등장해서 기존에 사용하던 소프트웨어가 무용지물이 된다면, 남은 사용권 자산 가치만큼 손상차손을 인식해야 하는 거죠. 손상차손을 인식하는 분개는 (차) 손상차손 XXX (대) 사용권자산 XXX 이렇게 됩니다. 생각보다 복잡하지 않죠? ^^
실제 사례
자, 그럼 실제 사례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A 회사는 20X1년 1월 1일에 5년간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사용권을 5억 원에 취득했어요. 내용연수는 5년이고 잔존가치는 없다고 가정해 봅시다. 매년 감가상각비는 1억 원(5억 원 / 5년)이 되겠죠?
20X1년 말 결산 분개는 (차) 감가상각비 100,000,000 (대) 감가상각누계액 100,000,000 이렇게 됩니다. 20X2년 말에는 어떻게 될까요? (차) 감가상각비 100,000,000 (대) 감가상각누계액 100,000,000으로 동일하게 처리하면 돼요.
그런데 만약 20X3년 말에 새로운 기술이 등장해서 이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1억 원으로 떨어졌다고 가정해 볼게요.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미 2년 동안 2억 원을 감가상각했으니, 장부가액은 3억 원(5억 원 - 2억 원)이죠. 그런데 실제 가치는 1억 원이니까 2억 원만큼 손상차손을 인식해야 해요. 분개는 (차) 손상차손 200,000,000 (대) 사용권자산 200,000,000 이렇게 하면 됩니다.
어때요? 이제 사용권 자산 결산분개가 조금은 익숙해졌나요? 처음에는 어려워 보였지만, 차근차근 하나씩 해보면 어렵지 않아요! 다음에는 리스부채 결산분개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조금만 더 힘내요!! 화이팅!!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다음 내용도 기대해주세요~?!
리스 부채 결산분개
자, 이제 드디어 리스 부채 결산분개 에 대해 알아볼 시간이에요! 사용권 자산과 마찬가지로 리스 부채도 기말 결산 시에 정확하게 처리해야 하죠. 리스 부채 결산분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바로 이자비용의 인식 과 리스부채의 감소 부분 이에요. 마치 시소처럼 하나가 올라가면 하나는 내려가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생각하면 돼요. 자, 그럼 좀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
리스 부채의 초기 측정
리스 부채의 초기 측정은 리스개시일에 지급해야 할 리스료의 현재가치로 측정한다는 것 , 기억하시죠? 이 현재가치에는 내재이자율 이라는 아주 중요한 요소가 숨어 있어요. 이 내재이자율을 이용해서 기간 경과에 따라 발생하는 이자비용을 계산해야 한답니다. 마치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이자, 생각만 해도 머리 아프죠?! 하지만 걱정 마세요! 차근차근 설명해 드릴게요.
이자비용 계산 예시
예를 들어, 리스기간이 5년이고 내재이자율이 5%인 리스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리스 부채의 초기 금액이 1,000,000원이라면, 첫 번째 기간에 인식할 이자비용은 1,000,000원 * 5% = 50,000원이 됩니다. 이 50,000원은 당기손익에 이자비용으로 계상되는 거죠. 생각보다 간단하죠?
리스부채의 감소
두 번째로 살펴볼 부분은 리스부채의 감소 부분이에요. 리스료를 지급할 때마다 리스부채는 조금씩 줄어들게 됩니다. 지급되는 리스료는 이자비용과 리스부채 감소분으로 나뉘는데, 위의 예시에서 리스료가 250,000원이었다면, 250,000원(리스료) - 50,000원(이자비용) = 200,000원이 리스부채에서 차감되는 금액이에요. 마치 대출금을 갚을 때 원금과 이자가 함께 상환되는 것과 비슷한 원리라고 생각하면 돼요~.
분개 예시
자, 이제 실제 분개를 통해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해 볼까요? 위의 예시를 그대로 사용해서 분개를 해보면 다음과 같아요.
(차변) 이자비용 50,000원
(대변) 리스부채 200,000원
(대변) 현금 250,000원
어때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죠?! ^^ 이렇게 매 기간 발생하는 이자비용을 계산하고, 지급되는 리스료에서 이자비용을 차감하여 리스부채 잔액을 줄여나가는 것이 리스 부채 결산분개의 핵심 이랍니다.
잔존가치 보증
좀 더 복잡한 예시를 들어볼까요? 만약 리스계약에 잔존가치 보증 이 포함되어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잔존가치 보증이란 리스기간 종료 후 자산의 가치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질 경우 리스이용자가 보증하는 금액 을 말하는데, 이 잔존가치 보증도 리스부채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사실! 잊지 마세요!!
예를 들어, 리스자산의 잔존가치가 100,000원이고, 리스이용자가 이 중 50,000원을 보증한다면, 이 50,000원은 리스부채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때 잔존가치 보증에 대한 현재가치를 계산 해야 하는데, 이 부분이 조금 복잡할 수 있어요. 하지만 걱정 마세요! 여러분은 할 수 있어요!
잔존가치 보증의 현재가치는 리스기간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할인해야 합니다. 만약 리스기간이 5년이고 할인율이 5%라면, 50,000원을 5년 동안 할인한 금액이 리스부채에 포함될 금액이 되는 거죠. 계산해보면 약 38,350원 정도가 됩니다. 이 금액 역시 리스부채에 포함되어 이자비용 계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답니다.
리스개량변경
또 다른 변수로 리스개량변경 도 생각해 볼 수 있어요. 리스자산을 개량하거나 변경하는 경우, 발생하는 비용은 자본화되어 사용권자산으로 인식되는데, 만약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이 리스료에 영향을 미친다면, 변경된 리스료를 기준으로 리스부채를 재계산해야 합니다. 이때도 현재가치를 다시 계산해야 한다는 사실! 잊지 마세요!
리스 부채 결산분개는 생각보다 복잡한 요소들이 많이 얽혀있어 어려울 수 있지만, 차근차근 하나씩 뜯어보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어요! 핵심은 이자비용과 리스부채의 변동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분개하는 것 이라는 점, 꼭 기억해두세요! 다음에는 더욱 흥미로운 주제로 돌아올게요! 기대해 주세요~!
휴, 드디어 사용권 자산과 리스부채의 최초 인식부터 결산까지 살펴봤네요! 어때요, 이제 조금 감이 잡히셨나요? 처음엔 낯설고 어려운 개념들이었지만, 차근차근 뜯어보니 생각보다 할 만하죠? 마치 미로 같았던 회계 처리가 이제는 한눈에 들어오는 지도처럼 느껴지실 거예요. 혹시 아직 헷갈리는 부분이 있더라도 괜찮아요. 복잡한 문제를 풀어낸 여러분 , 정말 수고 많으셨어요! 다음번에도 더 재미있고 유익한 회계 이야기로 함께해요!